-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이진트리(Binary Tree)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자료구조 이진트리(Binary Tree)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자료구조 중에서 이진트리(Binary Tree)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그림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끝까지 잘 따라와주세요 :) - 이진트리(Binary Tree)란? 이진트리(Binary Tree)는 트리 중에서도 각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노드를 가질 때 이진트리(Binary Tree)라고 합니다. 최대 2개이기 때문에 자식이 없을 수도 있고, 한개만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자식노드는 각각 왼쪽 자식노드와 오른쪽 자식노드로 표현을 합니다. 그래서 같은 루트에 같은 자식노드 하나를 가지고 있어도 자식노드의 위치가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다르다면 그 두 트리는 서로 다른 트리가 됩.. 더보기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알고리즘 합병정렬(Merge sort)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알고리즘 합병정렬(Merge sort)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알고리즘 정렬 중에서 합병정렬(Merge sort)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정말 어렵지 않으니 잘 따라와주세요. - 합병정렬(머지소트, Merge sort) 이번 포스팅에서는 합병정렬(머지소트, Merge sor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합병정렬(Merge sort)과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퀵정렬(Quick sort)이 정렬 알고리즘의 핵심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부터는 이전에 배웠던 삽입정렬, 버블정렬의 방식과는 다르게 조금 더 복잡한 형태로 정렬을 진행하게 됩니다. 1. 합병정렬(머지소트, Merge sort) 이란? 합병정렬(Merge sort)은 1... 더보기
-
컴퓨터 공학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또 많이 컴공의 기초가 되는 내용인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코딩을 한다면 반드시 알아야하는 기초적인 내용인 만큼 깊이 있게 다룰 예정입니다. 그러면 거두절미하고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Server Client Architecture)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해서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서 많은 정보를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고 있는데요. 코딩을 한다면 이 원리에 대해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이 원리에 대해 이해를 해야지 어떤 개발자들이 어떤 파트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을.. 더보기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트리(Tree)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자료구조 트리(Tree)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자료구조 중에서 트리(Tree)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그림 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끝까지 잘 따라와주세요 :) - 트리(Tree)란? 우선 트리(Tree)는 한 노드(Node)가 여러 노드를 가리킬수 있는 비선형적 자료구조입니다. 리스트(list)나 스택(Stack), 큐(Queue)는 데이터의 이전 데이터나 다음 데이터의 순서가 존재했었죠. 물론 트리(Tree)도 내부적으로 순서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트리라는 자료구조 자체에서 데이터의 순서는 그렇게 중요한 요소는 아닙니다. 트리(Tree)는 순서보다는 데이터 구조의 계층적인 상하관계를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하고, 뒤에서 다루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