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이진트리(Binary Tree)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자료구조 이진트리(Binary Tree)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자료구조 중에서 이진트리(Binary Tree)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그림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끝까지 잘 따라와주세요 :) - 이진트리(Binary Tree)란? 이진트리(Binary Tree)는 트리 중에서도 각 노드가 최대 2개의 자식노드를 가질 때 이진트리(Binary Tree)라고 합니다. 최대 2개이기 때문에 자식이 없을 수도 있고, 한개만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자식노드는 각각 왼쪽 자식노드와 오른쪽 자식노드로 표현을 합니다. 그래서 같은 루트에 같은 자식노드 하나를 가지고 있어도 자식노드의 위치가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다르다면 그 두 트리는 서로 다른 트리가 됩.. 더보기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알고리즘 합병정렬(Merge sort)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알고리즘 합병정렬(Merge sort)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알고리즘 정렬 중에서 합병정렬(Merge sort)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정말 어렵지 않으니 잘 따라와주세요. - 합병정렬(머지소트, Merge sort) 이번 포스팅에서는 합병정렬(머지소트, Merge sor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합병정렬(Merge sort)과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퀵정렬(Quick sort)이 정렬 알고리즘의 핵심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부터는 이전에 배웠던 삽입정렬, 버블정렬의 방식과는 다르게 조금 더 복잡한 형태로 정렬을 진행하게 됩니다. 1. 합병정렬(머지소트, Merge sort) 이란? 합병정렬(Merge sort)은 1... 더보기
-
머신러닝 머신러닝 부트스트랩핑, 베깅, 데이터 샘플링에 대한 쉬운 이해 머신러닝 부트스트랩핑, 베깅, 데이터 샘플링에 대한 쉬운 이해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머신러닝 부트스트랩핑(bootstraping), 배깅(begging)과 데이터 샘플링(data sampling)에 대해 쉽고 재밌고 똑똑하게~ 열심히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부트 스트랩핑(Bootstraping)이란? -> 부트 스트랩핑(bootstraping)이란 복원 추출을 허용한 표본 재추출 방법을 뜻한다. 쉽게 말해서 뽑은 데이터를 다시 집어넣는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주머니에 10개의 공이 있는데 3개가 빨간공이면 빨간공이 뽑힐 확률은 3/10입니다. 그런데 처음에 빨간공을 뽑고 나서 주머니에 넣지 않으면 다음번에 빨간공이 뽑힐 확률은 2/9로 줄지만 다시 주머니에 넣으면 여전.. 더보기
-
머신러닝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머신러닝 분류(Classification) 모델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머신러닝 분류(Classification) 모델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코딩캠프입니다. 오늘은 머신러닝의 task중 classification(분류)에 대해서 그림으로 쉽고 똑똑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분류모델(Classification)이란? -> 주어진 데이터(X)를 분류하고자 하는 값(y)에 할당하는 방법 또는 -> 주어진 input 데이터(X)를 찾고자 하는 target value(y)에 할당하는 방법 이라고 정의 할 수 있겠습니다. - 분류(Classification) 모델의 종류? 분류 모델은 정말 많이 발전되어 왔지만 대표적으로 아래 10가지를 소개해드립니다. 1. Linear Classifier 2. Logistic Regression 3. Naive Bayes.. 더보기